가족에게 정성과 마음을 다하여 장례 설계를 도와드리는

마음상조

기본상품소개 상품비교 종교별 장례절차 유품정리및 청소

불교식 장례

1. 불교식 장례용어 및 설명
  • 극락왕생-죽은 후 극락 정토에서 다시 태어 난다는 뜻.더 없이 안락하고 아무 걱정이 없는 곳을 뜻함.
  • 다비-불에 태운다는 의미이며 화장을 일컫는 말로 다비식은 불교의 의례규범인 석문의범에 설명되어 있다고 한다.
  • 화장-세연을 다 한 육신을 자연으로 돌려 보낸다는 의미. 이는 육신을 지,수,화,풍이라는 자연의 구성요소로 환원시킨다는 불교식 해석임.
  • 탑다라니-‘다라니’는 주문을 의미하고 이것을 탑안에 봉안하면 병이나 재앙을 막고 죽은 이의 명복을 빌고 업장소멸과 영원히 삼악도를 떠나 태어나는 곳마다 부처님을 만나게 된다고 하여 봉안시 사용함.
  • 49재-사람이 죽으면 영혼이 명계에 49일 동안 머물면서 7번의 심판을 받는다고 함. 삼악도(지옥도,아귀,축생도)에 들지 않게 비는 기도의 행위
  • 소기-장례 후 1년
  • 대기-장례 후 2년
  • 창의-화장이 진행되는 동안에 고인이 쓰던 유물을 경매하거나 나누어 주는 의식
  • 조사-죽은 사람을 슬퍼하여 조상의 뜻을 나타낸 글
  • 궤연-영위를 모신 자리


2. 불교식 장례절차
  • 일반적으로 유교식 장례절차와 비슷하며 주례승이 시신이 화장까지 독경하며 유골은 쇄골한 다음 절에 봉안하고 49재,백일제, 소기, 나기를 지내고 3년상을 치른다.
  • 임종(수시를 하고 스님을 모셔 독경을 함)
  • 위패,영정 준비-양초와 향을 피우고 제단 꾸밈(음식은 차리지 않음)
  • 독경
  • 입관후 성복제(제사상을 차려 두고 아침저녁으로 상식을 올림,고인에게 삼배함)
  • 발인(영결식후 제사상 치우고 운구시작,스님이 맨앞에 상주,복인순으로 따름)
  • 하관(화장이나 하관시에 따로 제사 지내지 않음,독경과 법회로 고인추모)
  • 반곡과 제례(조석으로 밥과 물올리고 삼배드림, 돌아가신 후 일주일마다 제사 지냄.일곱번씩 일곱 번째가 사십구제임.49제 탈상.화장 후 우제는 지내지 않음)


3. 불교식 장례의 염불순서
  • 향 피움
  • 삼귀의
  • 반야심경,수계,설법,염불,왕생발원


4. 다비식 순서
  • 개식(삼귀의례三歸依禮-불,법,승의 삼보에 돌아가 의지한다는 의식)
  • 약력보고
  • 착어(著語-고인을 위한 부처님의 가르침을 설법)
  • 창혼(唱魂-극락세계에서 편히 잠들라는 의식으로 요령을 흔들며 혼을 부름)
  • 헌화(獻花-고인의 영전에 꽃을 전달)
  • 독경(讀經-고인의 혼을 안정시켜 생전의 모든 관계를 청산해 부처님의 세계에 고이 잠들라는 경문을 읽음)
  • 추도사(追悼辭-초상에는 조사라고 함)
  • 소향(燒香-향을 태우며 고인의 명복을 빔)-사홍서원(四弘誓願)
  • 중생무변서원도(衆生無邊誓願度-중생은 끝닿는 데가 없으니 제도하여 주기를 맹세함)
  • 번뇌무진서원단(煩惱無盡 誓願斷-인간의 번뇌는 끝이 없어서 번뇌를 끊기를 원하는 맹세)
  • 법문무량서원학(法文無量誓願學-불교의 세계는 한량이 없으니 배우기를 원한다는 것)
  • 불도무상서원성(佛道無上誓願成-불도보다 더 훌륭한 것이 없으니 불도 이루기를 맹세코 원합니다)
  • 폐식
  • 장지로 출상


5. 불교식 제례 순서
  • 거불
  • 다게
  • 청혼
  • 공양
  • 대표자
  • 보공양진언
  • 보회향진언
  • 광명진언
  • 발원
  • 나무
  • 아무타불
  • 음복



  • 저희 마음상조(호성의전)1544-2916으로 연락주시면 다니시는 사찰(절)과 협력하여 스님을 모시고 모든 장례절차를 불교식 장례로 진행하고 있습니다.
  • 저희 마음상조(호성의전) 1544-2916 으로 일반적으로 장례식장이나 타 상조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삼베 수의는 일제 잔재로 조선 시대 때 우리 조상님과 부모님을 죄인으로 만들고자 강제로 시행하게 한 일제강점기 잘 못된 관행입니다. 하루 빨리 없어져야 할 일제잔재들을 타파하고자 저희 마음상조(호성의전)는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. 감사합니다.


  •  
  •    
  •